기밀실(機密室), 우리 사회(社會)의 제 내막(諸內幕)
봉도성수무강(奉禱聖壽無彊)
신년사(新年辭), 아세아(亞細亞)의 영번(榮繁)과 신동아 건설(新東亞 建設)을 위(爲)하야
벽혈(碧血)로 역사(歷史)를 철(綴)하노라 _ 조선총독(朝鮮總督) 남차랑(南次郞)
시국 유지원탁회의(時局 有志圓卓會議)
동아협동체(東亞協同體)와 조선(朝鮮) _ 김명식(金明植) 인정식(..
펼쳐보기
기밀실(機密室), 우리 사회(社會)의 제 내막(諸內幕)
봉도성수무강(奉禱聖壽無彊)
신년사(新年辭), 아세아(亞細亞)의 영번(榮繁)과 신동아 건설(新東亞 建設)을 위(爲)하야
벽혈(碧血)로 역사(歷史)를 철(綴)하노라 _ 조선총독(朝鮮總督) 남차랑(南次郞)
시국 유지원탁회의(時局 有志圓卓會議)
동아협동체(東亞協同體)와 조선(朝鮮) _ 김명식(金明植) 인정식(印貞植) 차재정(車載貞)
박인덕여사(朴仁德女士)의 연애관(戀愛觀), 연애(戀愛)란 우주(宇宙)의 미(美)의 결정(結晶)임이여
영부인(令夫人) 「가정일기(家庭日記)」 _ 박은혜(朴恩惠) 허영숙(許英肅) 최의순(崔義順) 윤성상(尹聖相) 황신덕(黃信德)
관국시정기(觀菊詩筳記) _ 최의순(崔義順)
대륙 진출(大陸進出)의 조선민중(朝鮮民衆), 만주국(滿洲國)에서 활약(活躍)하는 그 현상(現象) _ 신경(新京) 홍양명(洪陽明)
나의 「푸로니카」(K군에게)
동방의 선구자(東方의 先駈者) 율곡(栗谷), 선생(先生)의 부국강병주의(富國强兵主義) _ 류자후(柳子厚)
그때, 그 시절(時節)의 회상(回想)
장안(長安) 『재자가인(才子佳人)』, 영화(榮華)와 흥망기(興亡記)
특집기사(特輯記事) 아세아 개조(亞細亞改造)의 진두(陳頭)에선 군중(群衆) _ 창랑객(滄浪客)
신민회(新民會)의 인물(人物)과 사업(事業)
일소대장(一小隊長)의 고백(告白), 어떤 귀순자(歸順者)를 마지하여 _ 신경(新京) 김경재(金璟載)
전시하(戰時下) 반도 청년(半島 靑年)의 각오(覺悟) _ 조선군사령부(朝鮮軍司令部) 정훈 소좌(鄭勳 少佐)
『여자의 일생(女子의 一生)』을 말하는 가인회의(佳人會議)
장안 명기 정화(長安 名妓 情話) _ 백조랑(白鳥郞)
『꽃의 서울』을 그리워 하면서
지나시장 확보(支那市場確保)와 대자원 국가(大資源國家)로 일본 등장(日本登場) _ 장강학인(長江學人)
트르케네프 연구(硏究) _ 크로포트킨
민요채집행각(民謠採輯行脚) _ 이상인(李相寅)
전쟁(戰爭)과 주식시장(株式市場) - 12조발동(12條發動)을 중심(中心)삼고서 _ 동경(東京) 최창호(崔昌鎬)
『전쟁문학(戰爭文學)』과 『조선작가(朝鮮作家)』 -전쟁(戰爭)과 문학(文學)과 그 작품(作品)을 말하는 좌담회(座談會)- _ 박영희(朴英熙), 김기진(金基鎭), 본사(本社) 김동환(金東煥)
춘원연구(春園硏究)(12) _ 김동인(金東仁)
장편작가 방문기(長篇作家 訪問記)(2), 이상(理想)을 어(語)하는 이태준씨(李泰俊氏) _ 일기자(一記者)
문학(文學)과 생(生)의 문제(問題) _ 백철(白鐵)
신춘문예수필(新春文藝隨筆)
염불(念佛) _ 춘원(春園)
시전(詩傳) =공자왈(孔子曰), 시삼백일언이폐지(詩三百一言以蔽之), 왈(曰), 사무사(思無邪). - 논어(論語)- _ 류석빈(柳錫彬) 역(譯)
가등청정(加藤淸正), 동경(東京)서는 개조사(改造社)의 「문예(文藝)」 경성(京城)서는 본지(本誌)에 동시 발표(同時發表) _ 장혁주(張赫宙)
접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