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주택문제(朝鮮住宅問題)(주택영단 간부(住宅營團幹部) を영(迎)へての좌담회(座談會) 국민총력연맹회의실(國民總力聯盟會議室)にて)
문화영역(文化領域)の명사(名士)を어심(御尋)ねして(4) (감자공 방송협회장(甘蔗廾放送協會長)こ -내선문화(內鮮文化)の교류(交流)に취(就)いて어(語)る-)_ 삼천리사 부인기자(三千里社 婦人記者)
전장(戰場)と반도동포(半島同胞)の애국열(愛國熱) _ 육군소위(陸軍少尉) 송전성태(松田盛太)(지나파견군 상해보도부 부원(支那派遣軍上海報道部部員)
장고(長鼓) _ 삼본장부(杉本長夫)
7월 상회(七月常會) _ 추목미대자(椎木美代子)
신문(新聞)·독서(讀書)·학교(學校) _ 칙무삼웅(則武三雄)
월광(月光)を애(愛)す(월애삼미(月愛三味)の기(記)) _ 진전절자(津田節子)
경성대화숙 여교사(京城大和塾女敎師), 일주간(一週間)の수기(手記) _ 김재경(金載璟)
지원병 영화(志願兵映畵) 「군(君)と복(僕)」(조선군사령부 제작(朝鮮軍司令部製作) 육군성보도부(陸軍省報道部)·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후원(後援)) _ 반도정(飯島正) 일하영태랑(日夏英太郞)
정보실(情報室), (우리 사회(社會)의 제사정(諸事情))
「임전생활(臨戰生活)」의 제창(提唱) (최소최저(最少最低)의 생활(生活)을 하자)
120만명(百二十萬名)의 재내지 조선인(在內地 朝鮮人)의 전시하(戰時下) 활약(活躍) _ 강호학인(江戶學人)
대만(臺灣)의 조선인(朝鮮人) 근황(近況)(2천명(二千名)의 시국적 활동상(時局的 活動相)) _ 재대만(在臺灣) 향천건이(香川健二)
상해재계(上海財界)의 3백만원 패자(三百萬圓覇者), 손창식(孫昌植) 방문기(訪問記)(상해(上海) 제일(第一)의 기계 왕국(機械 王國)인 상해정밀기계공예사장(上海精密機械工藝社長))
제정부흥(帝政復興)을 꿈꾸는 백계로인(白系露人)의 망명객(亡命客)들(로마노프 왕조의 마리 태후비(太后妃)의 포탐(抱貪))
전설(傳說) 천일주(千日酒)의 유래(由來) _ 태백산인(太白山人)
내지 기독교계(內地基督敎界)의 동향(動向)(내지(內地)를 시찰(視察)하고 돌아와서) _ 조선기독교서회 총무(朝鮮基督敎書會 總務) 전 감리교회 총리사(前監理敎會總理師) 양주삼(梁柱三)
잊지 못할 나의 은사기(恩師記) _ 독일 백림대학(獨逸伯林大學) 솜바르트 박사(博士) 이극로(李克魯), 경도제국대학(京都帝國大學) 이등■삼 박사(伊藤■三 博士) 박창훈(朴昌薰), 이화여자대학 교장(梨花女子大學校長) 라이양(孃) 박인덕(朴仁德)
애국미담(愛國美談) _ 편집실(編輯室) 선(選)
지상문화강좌(誌上文化講座)(제1회(第一回))
문화(文化)의 자유(自由)와 국방국가(國防國家)-문화지상주의(文化至上主義)의 비(非)를 논(論)함- _ 육군정보국(陸軍情報局)ㆍ육군대좌(陸軍大佐) 영목고삼(鈴木庫三)
밥맛 업슬 때에 호발(好發)하는 결핵(結核)의 초기증상(初期症狀)과 치료법(治療法) _ 의학박사(醫學博士) 강부탁(岡部卓)
문단비화(文壇秘話) _ 장대현인(章臺峴人)
상해(上海)ㆍ경성(京城) 양지(兩地) 『예술가 교환(藝術家交驩)』 좌담회(座談會)
신가요집(新歌謠集) _ 조선시인 제씨(朝鮮詩人諸氏) 작(作)
산화(山花) _ 석인해(石仁海)
편집후기(編輯後記)
「군(君)と복(僕)」를 말하는 좌담회(座談會)(판원 장군(板垣將軍)도 등장(登場) 일하영태랑(日夏英太郞) 감독(監督))
접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