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고(謹告)
힘의 찬미 _ 춘원(春園)
예언(豫言)?, 제2차 세계대전(第二次世界大戰)!!, 원제 대전(大戰)이 일어나나?, 그 상대국(相對國)은 어느 나라?
해외(海外) 레뷰(기일)(其一)
만주일중관계약사(滿洲日中關係略史) _ 주요한(朱耀翰)
해외(海外) 레뷰(기2)(其2)
미국의 만주정책과 문호개방주의의 변천(米國의 滿洲政策과 門戶開放主義의 變遷) _ 황강(黃崗)
어머니의 다지는 말슴, 옵바 보내는 밤에 _ 조종현(趙宗玄)
일중 충돌과 중로관계(日中衝突과 中露關係) _ 박원일(朴元一)
경제적 위기에서 정치적 위기에(經濟的 危機에서 政治的 危機에) _ 김광(金匡)
모던행진곡(行進曲)(기1)(其1)
부흥도중의 신토이기, 혁명경과와 신건설의 근황(復興途中의 新土耳其, 革命經過와 新建設의 近况) _ 신언준(申彦俊)
노동자의 수지(勞働者의 收支)
수학여행과 선수제도, 교육계의 양대문제(修學旅行과 選手制度, 敎育界의 兩大問題) _ 주요섭
교육계의 삼대문제, 1. 수학여행의 가부 2. 선수제도의 가부 3. 시험철폐의 실적(敎育界의 三大問題, 1. 修學旅行의 可否 2. 選手制度의 可否 3. 試驗撤廢의 實績)
밀정 「마타하리」의 활약, 세계적 요부의 극적 최후(密偵「마타하리」의 活躍, 世界的 妖婦의 劇的 最後) _ 청광(靑光)
병마의 낙원 조선(病魔의 樂園 朝鮮) _ 태허(太虛)
(건강란) 보건운동의 필요((健康欄) 保健運動의 必要) _ 세전교수(世傳敎授) 이용설(李容卨)
젊은이의 마음
야장수(冶匠手), 야로(冶爐)를 바라보는 청춘혼(靑春魂)의 시(詩) _ 이규원(시)(李揆元)(詩), 전봉제(全鳳濟)(컷트)
투우(鬪牛) _ 늘샘
서사기의 시인(舒事期의 詩人) _ 이응수(李應洙)
첫 경험(經驗) _ 현민(玄民)
시드는 꽃
추소병음(秋宵病吟) _ 전우한(全佑漢)
독서실(讀書室)
(특별부록)극동국제관계조약집, (부)세계열국군비비교표((特別附錄)極東國際關係條約集, (付)世界列國軍備比較表)
감옥의 향토색, 부산·대구·서대문·해주·평양(監獄의 鄕土色, 釜山·大邱·西大門·海洲·平壤)
재만동포에게 급고(在滿同胞에게 急告) _ 이광수(李光洙)
해외논단(海外論壇)
생각키는 망명객(亡命客)들 _ 춘원(春園)
모던 행진곡(行進曲)(기2)(其二)
조명탄(照明彈) _ 전초자(前硝子)
과학(科學)페지
김동인론, 문단인종횡담(기일)(金東仁論, 文壇人縱橫談(其一)) _ 김안서(金岸曙)
풍운리(風雲裡)에 오고가는 중국 외교인물 인상기(中國外交人物 印象記) _ 한청산(韓靑山)
잡지업자와 인물평론, 특히 「김성수론」에 대하야(雜誌業者와 人物評論, 特히 「金性洙論」에 대하야) _ 편집국(編輯局) 이보생(二步生)
과도기적 가정비극과 그 대책(過渡期的 家庭悲劇과 그 對策) _ 주요한(朱耀翰)
가정비극 엄정비판(家庭悲劇 嚴正批判) _ 제씨(諸氏)
독일 대학생의 생활, 검객남녀 나체생활 첨단연애(獨逸大學生의 生活, 劍客男女 裸軆生活 尖端戀愛) _ 도유호(都宥浩)
여성의 진출(女性의 進出)
훈민정음의 본문, 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訓民正音의 本文, 朝鮮文字의 歷史的 考察)(9) _ 김윤경(金允經)
혁명시인(革命詩人) 하이네(1), 이성과 낭만의 이원고와 철학(理性과 浪漫의 二元苦와 哲學)
접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