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담문고

메뉴보기

서지용어사전 TERMINOLOGY DICTIONARY

가각본(家刻本):
중국에서 자가(自家) 출판한 비매 도서.
가본(家本):
자기의 견해를 가지고 모든 책을 참조해 엮은 정본(定本).
가서(家書):
선조로부터 전수해 내려와 자가(自家)에 보존된 도서. 한 집안의 가계, 계보도 등을 기록해 집에 보관한 책.
가승(家乘):
종보(宗譜), 족보, 가보(家譜)라고도 한다.
가철(假綴):
제본하지 않은 책.
각본(刻本):
판목(板木) 또는 목활자로 조각한 판으로 인쇄한 도서.
각비(覺非):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 고친 것.
각서(角書):
서명(書名) 등의 상부에 소문자로 2항서(二行書)로 쓴 부제목.
각주(脚註):
본문에 대한 주석을 그 면 하단에 표시한 것.
각판(刻板):
책을 인쇄하기 위해 나무판에 문자나 그림을 새기는 것. 목판(木版), 책판(冊版), 조판(雕版), 누판(鏤版), 판목(版木)이라고도 한다.
간기(刊記):
고서에서 간행 연월일, 간행자명을 기록한 부분을 말하며 주로 권말에 기록되어 있다.
간사(刊寫):
간행(刊行)과 필사(筆寫)를 줄인 말.
감결(甘結):
상급관청에서 하급관청으로 발급하는 공문서.
감문(勘文):
고대의 연구 보고서로 기상, 역일(曆日) 등을 조사 연구한 결과를 모아서 상급 관청에 보고하는 문서. 오늘날의 보고서와 같다.
감인(監印):
인쇄 간행 사무를 감시하는 것.
개간(開刊):
문자나 그림 등을 판목에 반자(反字)로 새긴 다음 그 책판에 먹을 칠하고 책지에 박아내는 것.
개고본(改稿本):
초고본을 고친 것.
개작서(改作書):
이미 간행한 책 특히 고전의 내용을 시대에 맞도록 고쳐 쓴 책이나 내용의 변혁과 보충을 한 서적.
개제(改題:
1) 동일한 내용의 서적을 전혀 다른 서명을 붙여 발행한 것. 2) 고의가 아니라 두 개 이상의 표제를 가진 것 3) 잡지의 서명을 변경한 것.
개주(改鑄):
원래의 주조(鑄造) 활자가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폐기할 필요가 있을 경우, 그 원주(原鑄) 활자를 녹여 부어 새롭게 활자를 주조하는 것.
개판(開板):
전적을 목판으로 인쇄할 때에 쓰는 말로 출판과 같은 뜻이다.
건상본(巾箱本):
작은 글씨로 써서 건상(巾箱, 비단으로 두른 작은 상자) 속에 넣고 다니면서 수시로 꺼내 볼 수 있게 만든 책.
결본(缺本):
전집이나 강좌, 총서, 다권본과 같이 여러 책으로 구성된 도서의 일부가 빠져 있는 것. 빠진 각각의 책을 지칭하기도 한다. 결본 없이 완전한 책을 완질이라고 한다. 질본, 궐본, 잔결본, 유결본 등의 동의어가 있다.
경절장(經折裝):
범협본(梵夾本)과 같다.
계선(界線):
소요 활자의 위치를 정하거나 조판을 짜는 방법으로서 활자조판의 기본선, 곧 본문의 각 항(行)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그은 선.
고본(孤本):
천하에 단지 한 책만 존재하는 유일본.
고본(稿本):
편자 또는 저자가 글 내용을 엮거나 고안하여 처음으로 쓴 책으로, 자필고본(自筆稿本)과 타필고본(他筆稿本)으로 나눌 수 있다. 고본(藁本), 초본(草本), 초고본(草稿本), 원고본(原稿本)이라고도 한다.
고정지(藁精紙):
귀리나 보릿짚을 저(楮)에 섞어서 만든 종이. 함경도에서 많이 생산되었는데, 특히 부령의 종이라 유명했다.
고판본(古版本):
1) 옛날의 목판본 및 활자본의 총칭. 2) 임진왜란 이전의 판본을 가리킬 때 있으며, 고간본(古刊本), 구간본(舊刊本)이라고도 한다.
관판(官版):
도서를 출판할 때 당시 정부의 명을 받아 개판하는 것을 말한다.
광곽(匡廓):
서판의 외곽을 말하는데, 그 내부는 문자가 들어가는 공간이다. 네 테두리(四周)가 양선인 것을 사주쌍변(四周雙邊), 단선인 것을 사주단변(四周單邊)이라고 한다. 좌우만 양선인 것을 좌우쌍변(左右雙邊), 좌우만 단선인 것은 좌우단변(左右單邊)이라 한다.
교감(校勘):
글자나 글귀를 바로잡는 것.
교정본(校正本):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 간행한 책.
구회(口繪):
잡지나 단행본의 권두에 삽입되는 사진이나 그림.
권자본(卷子本):
종이를 옆으로 연달아 이어 붙여 그 한 끝에 축을, 다른 끝에 권서(卷緖)를 붙인 것. 보관할 때는 축에 말고 권서로 묶는다. 중국의 육조시대 이래 북송까지, 우리나라라는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 유행된 제책방법이다. 권축(卷軸), 권축본, 두루마리, 권본(卷本), 계본(繼本), 수권(手卷), 주지(周紙), 장권지(長卷紙) 등의 동의어가 있다.
권점(圈點):
문장 중에서 특히 주의를 환기할 필요가 있는 곳에 각 글자의 곁에 흑점, 홍점 등으로 점을 찍는 것을 말한다.
균자장(均字匠):
전통시대의 인쇄 과정을 담당하는 사람의 하나로 식자할 때 죽목(竹木)이나 파지 등 공목(空木)으로 빈 데를 꼭꼭 메워서 인출할 판을 동요치 않게 하는 사람.
금계(金界):
광곽과 계선을 금니로 그은 것.
금니(金泥):
금색의 묵
금자(金字):
금색의 묵 또는 금색의 묵으로 쓴 글.
기간고본(旣刊稿本):
간행된 서적의 원고.
기서(奇書):
진본(珍本). 별로 찾아볼 수 없는 진귀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