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서
- 구분
- 고문서 > 간찰 > 한문간찰
- 보낸이
-
- 정동유
- 받는이
-
- 변아사
- 보낸날
-
- 1785년 12월 10일
내용
向者苦企中得奉惠札 始審從者直還 悵失何可勝言 何其不諒如是耶 可慨可慨 雪後一寒 靜履如何 愈病頓轉甚 悶切悶切 仲氏來此 做數日之穩 客懷多賴消遣而 復此納履不留 可歎可歎 何間欲枉否 深企深企 餘不宣
乙巳臘月初十日 東愈頓
二曆送似
접때 고대하던 중 보내신 편지를 받아, 종자(從者)께서 바로 돌아가신 것을 비로소 알았습니다. 섭섭함과 실망을 어찌 이루 말로 할 수 있었겠습니까. 어찌 저의 마음을 그렇게도 몰라주십니까? 개탄스럽고 또 개탄스럽습니다.
눈이 온 후 한결같이 추운데 정양 중의 안부는 어떠하신지요?
저는 병이 갑자기 더욱 심하여 몹시 걱정스럽습니다.
중씨(仲氏)께서 여기에 와서 며칠 조용히 함께 지내, 덕분에 저는 객회(客懷)를 많이 달랬습니다. 그런데 더 머물지 않고 또 이렇게 떠나시니, 몹시 섭섭합니다.
언제 쯤 왕림하시겠습니까? 몹시 기다려집니다. 나머지는 이만 줄입니다.
1785년 섣달 초열흘 동유東愈 올림.
달력 두 개 보냅니다. (탈초․번역: 하영휘)
※ 중씨(仲氏): 남의 둘째 형을 높여 이르는 말
객회(客懷): 객지에서 살 때에 마음에 일어나는 울적한 느낌
봉투기록
해제
정동유(鄭東愈, 1744~1808)가 부안의 매산에 사는 변(邊) 아사(雅士)에게 보낸 것이다. 1785년 정동유가 다시 외직으로 나가 익산 군수로 재임할 때 보낸 것이다.
변 아사 형제가 정동유가 군수로 있는 익산 가까이 왔다. 정동유는 그들이 자기에게 와서 며칠 놀고 가기를 은근히 바라고 있었다. 그런데 변 아사는 바로 돌아가고, 그의 중씨(仲氏)만 들렀다. 며칠 지내고 돌아가는 중씨 편에 써 보낸 편지에 객지에서 수령 생활을 하는 정동유의 외로움이 짙게 묻어난다.
정동유와 변 아사, 두 사람은 지우(知友)였던 것으로 보인다. 편지의 사연에는 정이 넘치지만, 글씨와 서식에는 예가 깍듯하다. 수령과 지방의 반듯한 학자 사이의 담백한 우정을 엿볼 수 있다.
정동유는 실증적이고 논리적인 학자였는데, 자신이 엮은 《주영편(晝永編)》이라는 책에서 세상의 많은 분야에 관한 비판과 고증을 가하고 있다. 특히 그는 훈민정음을 깊이 연구한 언어학자이기도 했다.(해제: 하영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