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 구분
- 잡지 > 교육
- 제호(잡지명)
-
- 한글태극학보 3호
- 한문太極學報 3號
- 발행자
-
- 인쇄인김지간
- 인쇄인 주소東京市 本鄕區 元町 2丁目 66番地 太極學會 內
- 편집 겸 발행인장응진
- 편집 겸 발행인 주소東京市 本鄕區 元町 2丁目 66番地 太極學會 內
- 출판사
- 太極學會 태극학회
- 발행지
- 東京市 本鄕區 元町 2丁目 66番地
- 인쇄소
- 敎文館印刷所 교문관인쇄소
- 인쇄지
- 東京市 京橋區 銀座 4丁目 1番地
- 창간일
- 1906년 8월 24일
- 간행일
- 1906년 10월 24일
- 인쇄일
- 1906년
- 통권
- 3호
- 간별
- 월간
- 형태
-
- 면수60page
- 가격
-
목차
태극학회 총설(太極學會 總說) _ 유학생 감독 한치유(留學生監督 韓致愈)
공축 태극학보(恭祝太極學報) _ 춘수자 구자욱(春睡子 具滋旭)
아국 국민교육의 진흥책(我國國民敎育의 振興策) _ 편집인 장응진(編輯人 張膺震)
정부론(政府論) _ 회원 최석하(會員 崔錫夏)
자유론(自由論) _ 회원 문일평(會員 文一平)
학술상 관찰노 상업경제의 공황상태를 론홈(學術上 觀察노 商業經濟의 恐慌狀態를 論홈(前號續)) _ 회원 전영작(會員 全永爵)
인격의 발달(기서)(人格의 發達(寄書)) _ 유전(劉銓)
한국악관(韓國樂觀) _ 회원 김지간(會員 金志侃)
성정론(기서)(性情論(寄書)) _ 선사 일우 김태은(禪師 一愚 金太垠)
월 급 은하(月 及 銀河) _ 회원 창강생 김태진(會員 蒼岡生 金台鎭)
조림상 입지의 관계(造林上 立地의 關係) _ 회원 김진초(會員 金鎭初)
역사담(제1회)(기서)(歷史譚(第一回)(寄書) _ 회원 박용희(會員 朴容喜)
상업의 의의(기서)(商業의 意義(寄書)) _ 장홍식(張弘植)
추풍(抽風)일딘(寄書) _ 녀사 윤정원(윤뎡원)(女史 尹貞媛)
여창추감(旅窓秋感) _ 회원 장계택(會員 張啓澤)
수감록(隨感錄) _ 회원 손영국(會員 孫榮國)
사조적적(思潮滴滴) _ 회원 신상호(會員 申相鎬)
분기라 청년제자(기서)(奮起라 靑年諸子(寄書)) _ 대몽생(大夢生)
식물계(植物界) _ 회원 홍정구(會員 洪正求)
지육불여체육(기서)(智育不如體育(寄書)) _ 청립 이창난(晴笠 李昌煖)
잡록(雜錄)
회사요록(會事要錄)
태극학보 의연인 씨명(太極學報義捐人氏名)
해제
태극학회는 1905년 일본 도쿄에 설립된 서북지방 출신 유학생들의 친목단체이다. 처음에는 후배 유학생들의 편익을 도모하고 선후배간 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점차 출판을 통한 계몽운동이 활성화되었고, 이는 다시 국내의 계몽운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09년 대한흥학회(大韓興學會)에 통합되면서 발전적으로 해소되었다.
1906년 8월 조직이 정비되어 학회지인 『태극학보(太極學報)』를 창간했다. 『태극학보』는 이윤주(李潤柱), 문일평(文一平) 등의 의연금을 기본자산으로 하고, 회원의 의연금과 학보 판매금, 유지의 찬성금(贊成金)으로 발행되었다. 1907년 7월에는 175명의 인사들이 한꺼번에 의연금을 보내기도 하였다. 편집에는 김낙영·김홍량(金鴻亮)·김지간 등이 관여했다. 1907년 3월 학보편찬원 8인을 신설해 학보 발간에 주력했다.
『태극학보』는 1906년 8월 24일 제1호를 창간한 이래 매년 8월을 제외하고 1908년 12월까지 27호를 발간했다. 학보의 크기는 A5판, 분량은 52∼72면 정도였다. 처음에는 1,000부를 발행했으나 호응이 커서 2,000부까지 발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태극학보』는 일본, 서울 및 서북지방을 중심으로 한 국내뿐만 아니라 샌프란시스코의 공립신보사(共立申報社)를 통해 미주에도 배포되었다.
『태극학보』는 대개 논단·강단·학원(學園)·문예·잡보·기서(寄書)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논단에는 국내 현실과 애국적인 논설을, 강단과 학원에는 계몽적인 학문의 소개를, 문예에는 문학작품을, 잡보에는 유학생의 활동과 국내외의 정세를 실었다. 국민계몽을 목적으로 한 만큼 계몽적인 학술내용과 애국정신을 고취시키는 논설류도 많았다. 그러나 발행 장소가 일본이었기 때문에 정치적인 기사는 일체 싣지 못했다. (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