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 구분
- 잡지 > 교육
- 제호(잡지명)
-
- 한글태극학보 12호
- 한문太極學報 12號
- 발행자
-
- 인쇄인김지간
- 인쇄인 주소東京市 本鄕區 元町 2丁目 66番地 太極學會 內
- 편집 겸 발행인장응진
- 편집 겸 발행인 주소東京市 本鄕區 元町 2丁目 66番地 太極學會 內
- 출판사
- 太極學會 태극학회
- 발행지
- 東京市 本鄕區 元町 2丁目 66番地
- 인쇄소
- 敎文館印刷所 교문관인쇄소
- 인쇄지
- 東京市 京橋區 銀座 4丁目 1番地
- 창간일
- 1906년 8월 24일
- 간행일
- 1907년 8월 5일
- 인쇄일
- 1907년 7월 27일
- 통권
- 12호
- 간별
- 월간
- 형태
-
- 면수56page
- 가격
-
목차
국지흥왕재어공부(國之興旺在於公富) _ 한여교(韓輿敎)
양심론(良心論) _ 백악 장응진(白岳 張膺震)
한국의 장래문명을 론(韓國의 將來文明을 論) _ 문일평(文一平)
천하대세를 론(天下大勢를 論) _ 우양 최석하(友洋 崔錫夏)
애국심의 연원은 애아심에 재(愛國心의 淵源은 愛我心에 在) _ 고의환(高宜煥)
입법 사법 행정의 구별과 기 의의(10호속)(立法 司法 行政의 區別과 其 意義)(十號續) _ 전영작(全永爵)
역사담 제10회(歷史譚 第十回) _ 박용희(朴容喜)
동몽물리학 강담(이)(童蒙物理學 講談(二)) _ 초해 김낙영(椒海 金洛泳)
학창여담(이)(學窓餘談(二) _ 오호유(吳鎬裕)
양계설(養鷄說) _ 김진초(金鎭初)
위생담편(衛生談片) _ 이규영(李奎濚)
휴업지하에 별동계제군자야 귀국서(休業之夏에 別同契諸君子야 歸國序) _ 김병억(金炳億)
외국에 출학 친자의게(外國에 出學 親子의게) _ 초해(椒海)
이조가명(以鳥假鳴) _ 무하광 송욱현(無何狂 宋旭鉉)
송민시찰원식 귀국(送閔視察元植歸國) _ 석소 이동초(石蘇 李東初)
문공립협회총회장 송석준씨 부음감추도이작(聞共立協會總會長 宋錫俊氏 訃音感追悼而作) _ 무하광 송욱현(無何狂 宋旭鉉)
견 동물원 기린 유감(見動物園麒麟有感) _ 춘포 류종수(春圃 柳種洙)
객창우중(客牕雨中) _ 위재 이규영(爲齋 李奎濚)
태극학회 축사(太極學會祝詞) _ 내당 고원훈(來堂 高元勳)
술회(述懷) _ 최창렬(崔昌烈)
단편(斷片) _ 우송 정인하(又松 鄭寅河)
고학생의 정형(苦學生의 情形)
학계 소식(學界消息)
회원 소식(會員消息)
신입 회원(新入會員)
태극학보 의연인 씨명(太極學報義捐人氏名)
해제
태극학회는 1905년 일본 도쿄에 설립된 서북지방 출신 유학생들의 친목단체이다. 처음에는 후배 유학생들의 편익을 도모하고 선후배간 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점차 출판을 통한 계몽운동이 활성화되었고, 이는 다시 국내의 계몽운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09년 대한흥학회(大韓興學會)에 통합되면서 발전적으로 해소되었다.
1906년 8월 조직이 정비되어 학회지인 『태극학보(太極學報)』를 창간했다. 『태극학보』는 이윤주(李潤柱), 문일평(文一平) 등의 의연금을 기본자산으로 하고, 회원의 의연금과 학보 판매금, 유지의 찬성금(贊成金)으로 발행되었다. 1907년 7월에는 175명의 인사들이 한꺼번에 의연금을 보내기도 하였다. 편집에는 김낙영·김홍량(金鴻亮)·김지간 등이 관여했다. 1907년 3월 학보편찬원 8인을 신설해 학보 발간에 주력했다.
『태극학보』는 1906년 8월 24일 제1호를 창간한 이래 매년 8월을 제외하고 1908년 12월까지 27호를 발간했다. 학보의 크기는 A5판, 분량은 52∼72면 정도였다. 처음에는 1,000부를 발행했으나 호응이 커서 2,000부까지 발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태극학보』는 일본, 서울 및 서북지방을 중심으로 한 국내뿐만 아니라 샌프란시스코의 공립신보사(共立申報社)를 통해 미주에도 배포되었다.
『태극학보』는 대개 논단·강단·학원(學園)·문예·잡보·기서(寄書)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논단에는 국내 현실과 애국적인 논설을, 강단과 학원에는 계몽적인 학문의 소개를, 문예에는 문학작품을, 잡보에는 유학생의 활동과 국내외의 정세를 실었다. 국민계몽을 목적으로 한 만큼 계몽적인 학술내용과 애국정신을 고취시키는 논설류도 많았다. 그러나 발행 장소가 일본이었기 때문에 정치적인 기사는 일체 싣지 못했다. (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