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 구분
- 단행본 > 문학 > 신소설
- 제목
-
- 한글귀의성 상
- 국한문鬼의聲 上
- 저자
-
- 저자 李人稙 이인직
- 발행자
-
- 편집인김상만
- 출판사
- 광학서포
- 발행지
- 황성 중서 포병하 37통 6호
- 인쇄소
- 일한도서주식회사
- 발매소
- 김상만책사
- 발행일
- 1907년 10월 3일
- 인쇄일
- 1907년 9월 25일
- 판 사항
- 초판
- 형태
-
- 세로23cm
- 면수146page
- 장정양식
-
- 반양장
- 가격
-
해제
숭양산인 이인직이 지은 신소설로, 1906년 10월부터 1907년 5월까지에 걸쳐 『만세보』에 연재, 발표되었다. 1907년 10월 3일 황성광학서포에서 상편의 초판이 간행되었고, 1908년 7월 25일 중앙서관에서 하편 초판이 출간되었다.
이 작품은 만삭이 된 길순이 독수공방하면서 번민하는 장면으로부터 시작된다. 춘천군수로 도임한 김승지는 강동지의 무남독녀 길순을 첩으로 삼고 지내던 중, 본처의 투기로 내직으로 옮겨 서울로 떠난다. 김승지에게서 아무런 소식도 없자, 딸의 애처로운 정상을 보다 못한 강동지는 딸을 가마에 싣고 서울로 향한다.
천신만고 끝에 서울 김승지의 집에 당도한 강동지 부녀는, 본부인의 적의로 안중문에도 들어서지 못하고 우유부단한 김승지의 황급한 처사대로 박 참봉 집에 머물면서 윗사람의 회답을 기다린다. 그 사이에 길순은 고민 끝에 우물에 빠져 자살하려다가 순경에게 구출되어 박 참봉이 주선한 새 거처로 옮긴다.
길순은 여기서 아들 거북이를 순산하게 된다. 그러나 본처의 흉계에 의하여, 하수인인 몸종 점순과 그 정부인 최가에 의하여 봉은사 부근 숲 속에 유인되어 모자가 함께 살해된다.
꿈자리가 뒤숭숭하여 다시 상경한 강동지는 딸의 피살에 대한 상세한 실상을 탐문하고, 복수 일념에 불타 하수인이었던 점순과 그 정부가 피신해 있는 부산 초량으로 내려가 그들을 살해한다. 그리고 다시 서울로 올라와 김승지의 본부인마저 처단하고, 노령(露領) 해삼위(海蔘威: 블라디보스톡)로 떠난다.
이 작품은 본처와 첩의 질투와 갈등에서 빚어지는 가정비극을 주축으로 하는 작품이다. 그러나 일부종사(一夫從事)의 윤리관에서 벗어나려는 결혼관이나 미신타파의 암시적 주장, 그리고 사건의 진전과정에서 기차·전차·전보·지폐 등 현대적인 문물을 등장시켜 참신한 감각을 자극시킨 점 등은 간접적으로 개화사조나 근대문명에 접맥되는 현상들이다.
한편 양반인 김승지 일가와 향읍(鄕邑) 상인(常人)인 강동지 집안의 갈등을 통하여, 강동지 및 침모 등이 지니고 있는 양반에 대한 반발의식이나, 점순이나 최가 등의 천역(賤役)들이 신분관계에 대한 속량(贖良)과 자유를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행동하는 점 등은 주목할 만하다. 이 점이 이 작품을 종래의 유형적인 가정비극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개화의 각광을 받은 근대소설의 전초적 구실을 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다.
김동인도 『조선근대소설고』에서 이 작품이 학대받는 한 가련한 여성의 일대를 우리에게 보여주었다고 하며 한국 근대소설의 원조로 평가했다. (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