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 구분
- 잡지 > 문예
- 제호(잡지명)
-
- 한글백민 4권 1호
- 한문白民 4卷 1號
- 영문BAIK MIN
- 기타白民 新年特輯號
- 발행자
-
- 편집인金松
- 출판사
- 白民文化社 백민문화사
- 발행지
- 서울市 樓上洞 9
- 창간일
- 1945년 12월 1일
- 간행일
- 1948년 1월 1일
- 인쇄일
- 1948년
- 권호
- 4권 1호
- 통권
- 12호
- 간별
- 격월간
- 형태
-
- 면수108page
- 가격
-
- 정가80원
목차
김흥수[표지화]
김안서[신년송]꽃수레(1)
目次(2-3)
김광섭: 문학의 현실성과 그 임무(4-8)
劉鳳榮: 丁亥年 政界의 회고(9-13)
문단소식(13)
金山水(抄譯)V·크라브쳉코: 스딸린의 후계자(14-17)
方鍾鉉: 松潭歌辭를 읽고(18-22)
金光洲: 魯迅과 그의 作品(23-26)
곽종원(상명중학): 丁亥年 문단의 회고-현실의 초극과 문학정신(27-31)
손소희[수필]香油의 散華-가을을 보내며(32-33)
金鎭壽: 작금 연극계의 인상(34-35)
崔永秀: 나의 漫畵生活 自敍(36-37)
정비석: 나의 문학생활 自敍(38-39)
편집부: 島山先生 救國血鬪記(40-44)
金聖珉: 패전 직후의 東京 표정(45-48)
임긍재: 문학과 연애의 문제(49-52)
吳鏡: 철학과 문예(53-55)
尹崑崗[시]피리 부는 밤(56)
조지훈[시]마을(57)
김송[신간소개]柳致眞氏의 「소」를 읽고(58)
文壇人의 表情-이봉구,안석주,최태응,박영준,백철 등(58)
김동리[창작]驛馬(59-75)
李璇求(文)南寬(畵): 낙엽의 추억(76)
박영준[창작]생활의 파편(77-89)
서정주: 나의 시인생활 自敍(90-91)
김송[창작]貞任이(92-107)
편집후기(108)
해제
1945년에, 김현송이 우리 민족의 자주적인 문화를 창조하기 위하여 창간한 잡지.
1945년 12월 작가 김현송(金玄松)에 의해 창간된 문예지로, 종합교양지의 성격도 갖추고 있었다. 판형은 A5판으로 처음에는 격월간으로 발행하다가 월간으로 바꾸어 발행했다. 소설가 김현송은 일제하에서 문화에 굶주렸던 국민에게 배불리 먹을 수 있는 문화의 식탁 구실을 하고자 이 잡지를 발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의 백민문화사(白民文化社)에서 고전·평론·수필·소설·교양 등의 읽을거리를 담은 순수문학과 민족문학적 입장을 견지했던 이 잡지는 1948년 1월호까지 통권 21호를 발간했으나 경영의 어려움으로 잠시 자취를 감추기도 했다.
그러나 1950년 6월에 세종로의 중앙문화협회(中央文化協會)가 제호를 『문학(文學)』으로 바꾸어 속간하게 되었다. 이때는 시인인 김광섭(金珖燮)이 발행인이 되어 편집, 발행했으나 제22호와 제23호의 두 호만이 나왔을 뿐 곧 사라지고 말았다. (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