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 구분
- 잡지 > 문예
- 제호(잡지명)
-
- 한글백민 4권 3호
- 한문白民 4卷 3號
- 영문BAIK MIN
- 기타白民 五月號
- 출판사
- 白民文化社 백민문화사
- 발행지
- 서울
- 창간일
- 1945년 12월 1일
- 간행일
- 1948년 5월 1일
- 인쇄일
- 1948년
- 권호
- 4권 3호
- 통권
- 14호
- 간별
- 격월간
- 형태
-
- 면수148page
목차
김흥수[표지화]
서정주[권두시]저녁노을처럼(1)
目次(2-3)
조지훈: 정치주의문학의 正體-그 虛妄에 抗하며(4-9)
홍효민: 순수문학批評(10-13)
조선문학 재건에 대한 제의
본지주간: 조선문학 재건에 대한 제의(14)
廉尙燮: 사회성과 시대성 중시(15-16)
金東仁: 계란을 세우는 방법(16-19)
金東里: 정치적 감시를 소탕하라(20-22)
白鐵: 新논리의 개척과 신인간의 창조(22-24)
郭鍾元: 新理想과 신인간형의 탐구(24-26)
尹崑崗: 문학자의 사명(26-29)
金珖燮: 민족문학을 위하야(29-30)
김광주: 문학으로 도라가서(30-32)
박종화: 민족적 긍지를 高揚하라(32-33)
白南薰: 총선거의 세계사적 의의(34
송지영: 중국 ‘54운동’의 의의(38-42)
B記者(譯抄): 도산선생 救國血鬪記⓶(43-46)
한흑구: 수필문학론(47-49)
최영수[수필]봄의 환상(50-51)
함대훈[수필]信(52-54)
박화목[수필]孤獨症(55-57)
金相沃[시]鞦韆(57)
오상순[수필]結婚頌(58-59)
배길기[수필]벼루와 감(60-61)
양운한[시]등촉(62)
박두진[시]霜朝(63)
윤영춘: 외국문학수입의 一考(64-67)
임긍재: 林和論-扮裝한 僕巾의 시인(68-73)
조연현: 문학의 영역(74-77)
趙石童: 文壇吾不關焉-기성문단에 대한 나의 提言(78-79)
李相魯: 不參者의 不備之文-기성문단에 대한 나의 提言(79-80)
池永燮[수필집]희랍의 문학(81-83)
문단인의 표정-염상섭, 최정희, 김광섭, 서정주, 손소희(81-83)
김광섭[시]罰(84)
염상섭[창작]그 初期(86-98)
최태응[창작]越境者(99-105)
김송[창작]남사당(106-115)
박영준(소묘): 나의 문학생활 自敍(116-117)
정비석[창작]受難者-金鳳鳴傳(118-129)
손소희[창작]回心(130-138)
박계주[창작]예술가K씨-어떤 ‘귀족푸로레타리아’의 생활(139
최인욱[창작]개나리(148-157)
편집후기(158)
해제
1945년에, 김현송이 우리 민족의 자주적인 문화를 창조하기 위하여 창간한 잡지.
1945년 12월 작가 김현송(金玄松)에 의해 창간된 문예지로, 종합교양지의 성격도 갖추고 있었다. 판형은 A5판으로 처음에는 격월간으로 발행하다가 월간으로 바꾸어 발행했다. 소설가 김현송은 일제하에서 문화에 굶주렸던 국민에게 배불리 먹을 수 있는 문화의 식탁 구실을 하고자 이 잡지를 발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의 백민문화사(白民文化社)에서 고전·평론·수필·소설·교양 등의 읽을거리를 담은 순수문학과 민족문학적 입장을 견지했던 이 잡지는 1948년 1월호까지 통권 21호를 발간했으나 경영의 어려움으로 잠시 자취를 감추기도 했다.
그러나 1950년 6월에 세종로의 중앙문화협회(中央文化協會)가 제호를 『문학(文學)』으로 바꾸어 속간하게 되었다. 이때는 시인인 김광섭(金珖燮)이 발행인이 되어 편집, 발행했으나 제22호와 제23호의 두 호만이 나왔을 뿐 곧 사라지고 말았다. (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