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담문고

메뉴보기

잡지

구분
잡지 > 문예
제호(잡지명)
  • 한글백민 4권 20호
  • 한문白民 4卷 20號
  • 기타白民 創刊4周年記念號
출판사
白民文化社 백민문화사
발행지
서울
창간일
1945년 12월 1일
간행일
1950년 2월 1일
인쇄일
1950년
통권
20호
간별
격월간
형태
  • 면수326page

목차

백영수[표지화,내제화]
정현웅,최영수,金永周[커트]
김광섭[권두언]33인집을 내면서(2-3)
전영택[창작]소(4-13)
이무영[창작]戰記(14-25)
정비석[창작]思鄕歌-어느 학도병의 수기(26-31)
최독견[창작]傀儡(32-36)
염상섭[창작]굴레(37-48)
엄흥섭[창작]C君과 나와 영옥(49-58)
김송[창작]달이 뜨면(59-71)
강로향[창작]세월(72-75)
박영준[창작]反響(76-82)
곽하신[창작]떡장수(83-86)
이봉구[창작]명동의 에레지-(87-92)
김광주[창작]惡夜(93-109)
홍구범[창작]어떤 父子(110-115)
장덕조[창작]三十年(116-130)
이성표[창작]摸索(130-140)
박계주[창작]조국(141-149)
이선구[창작]幻(150-163)
임옥인[창작]落果(164-172)
유주현[창작]群像(173-181)
안수길[창작]翠菊(182-194)
이석훈[창작]고향 찾는 사람들(195-205)
임서하[창작]소(牛)(206-217)
황순원[창작]‘이리’도(218-228)
최요안[창작]醫師 없는 마을(229-238)
최태응[창작]슬픈 승리자(239-250)
윤금숙[창작]불행한 사람들(251-257)
최인욱[창작]雪寒記(258-265)
박연희[창작]여인(266-271)
유치진[희곡]장벽1막(272-285)
진우촌[희곡]파도1막(286-292)
李翼[씨나리오]전원(293-301)
김진수[희곡]유원지1막(302-317)
김영수[희곡]돼지1막(318-326)
편집후기(김송,박)(327)

해제

1945년에, 김현송이 우리 민족의 자주적인 문화를 창조하기 위하여 창간한 잡지.
1945년 12월 작가 김현송(金玄松)에 의해 창간된 문예지로, 종합교양지의 성격도 갖추고 있었다. 판형은 A5판으로 처음에는 격월간으로 발행하다가 월간으로 바꾸어 발행했다. 소설가 김현송은 일제하에서 문화에 굶주렸던 국민에게 배불리 먹을 수 있는 문화의 식탁 구실을 하고자 이 잡지를 발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의 백민문화사(白民文化社)에서 고전·평론·수필·소설·교양 등의 읽을거리를 담은 순수문학과 민족문학적 입장을 견지했던 이 잡지는 1948년 1월호까지 통권 21호를 발간했으나 경영의 어려움으로 잠시 자취를 감추기도 했다.
그러나 1950년 6월에 세종로의 중앙문화협회(中央文化協會)가 제호를 『문학(文學)』으로 바꾸어 속간하게 되었다. 이때는 시인인 김광섭(金珖燮)이 발행인이 되어 편집, 발행했으나 제22호와 제23호의 두 호만이 나왔을 뿐 곧 사라지고 말았다. (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preview
preview
preview